- 영문명
- The Impact of Occupational Stress, Self-Esteem, and 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Public Hospita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미화 유양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781~79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의 공공병원 3곳에서 3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9월 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및 이직의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이직의도에 대해 직무스트레스는 정적인 영향을, 회복탄력성은 부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 두 개 변수가 이직의도를 24% 설명함을 알 수 있다.
결론 공공병원의 임상 현장에서 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를 실무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ccupational stress,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public hospital nurses have an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turnover.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40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3 months in three public hospitals in Jeollabuk-do from August 22nd to September 4th, 2022. The questionnaire measured occupational stress, self-esteem, 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software to fulfill the research objective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ppropriate.
Results Regarding nurses'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finds that occupational stress has a positive impact, while resilience has a negative impact. These two factors collectively explain 24% of the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It can be observed that in the clinical setting of public hospitals, reducing occupational stress and en-hancing nurses' resilience are pressing tasks to diminish turnover intention. Simultaneously devising practical measures for this purpose and implementing them in the practical field emerge as imperative challeng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