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German Corresponding Form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 ‘에’, ‘에서’, ‘(으)로’ for the German Speaking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경 박덕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673~6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으)로’의 독일어 대응 표현을 고찰함으로써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으)로’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본고에서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 중 빈도가 높은 ‘에’, ‘에서’, ‘(으)로’에 대하여 대표적인 한국어 문법 사전들을 통해 다양한 의미 기능을 살펴보고, 각 사전들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체계적인 분류 기준을 설정하여 ‘에’, ‘에서’, ‘(으)로’에 대응되는 독일어 표현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의 효율적인 특성을 기술하였다.
결과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으)로’는 대부분 독일어 전치사와 대응되지만,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독일어 전치사의 문법적 기능이 다르므로 실제 문장에서 실현되는 구조나 형태는 다르다. 또한 독일어 전치사로 대응되는 것 이외에 접속사와 부사로도 실현되는 경우도 확인하였다. 하나의 전치사가 부사격 조사의 한 가지 의미 기능에 대응되는 경우와 두 개 이상의 부사격 조사와 대응되는 경우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전치사 ‘zu’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의 여러 가지 의미 기능에 대응된다. 또한 부사격 조사 ‘에’에 대응되는 독일어 장소 전치사와 시간 전치사 중의 일부는 장소(방향)와 시간 표현의 한국어 명사와 결합하며, ‘에’와 ‘으로’에 대응되는 독일어 부사는 장소(방향)을 나타내는 한국어 명사 및 관형사와 결합한다.
결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으)로’와 독일어의 대응 양상을 통해 나타난 특징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교수·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한국어 교수자는 독일어권 학습자를 위해 부사격 조사의 여러 가지 의미 기능을 다양한 상황과 맥락 속에서 지도해야 한다. 특히 부사격 조사가 독일어 전치사로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접속사, 부사 등으로도 실현될 수도 있으므로 대치 오류가 나타나지 않도록 교육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에’, ‘에서’ and ‘(으)로’ for German speaking Korean learners by examining their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German.
Methods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semantic functions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에’, ‘에서’ and ‘(으)로’, several dictionaries were consulted. They a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explored their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German. While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에’, ‘에서’ and ‘(으)로’ often have multi-ple corresponding German prepositions,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and German prepositions are different.
Results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에’, ‘에서’ and ‘(으)로’ are mostly matched with German prepositions, but due to differences in grammatical functions between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and German preposi-tions, the actual structures and forms realized in sentences are different. It has also identified cases where they are realized not only as German prepositions but also as conjunctions and adverbs. A single preposition corre-sponds to one specific meaning function of the adverbial case markers, while it can correspond to two or more adverbial case markers, showing various patterns. In particular, the preposition ‘zu’ corresponds to multiple meaning functions of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Some of the German prepositions that correspond to the adverbial case marker ‘에’ combine with Korean nouns indicating place (direction) and time expressions. German adverbs corresponding to ‘에’ and ‘(으)로’ combine with Korean nouns and adjectives indicating place (direc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through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에’, ‘에서’ and ‘(으)로’ and their German corresponding expressions, it is important to teach and learn efficiently. In this regard, Korean instructors should guide German learners to understand the various meaning functions of adverbial case markers in different situations and contexts. Especially since adver-bial case markers can be realized not only as German prepositions but also as conjunctions, adverbs, and so 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errors of corresponding express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에’, ‘에서’, ‘(으)로’의 의미 기능
Ⅳ. ‘에’, ‘에서’, ‘(으)로’의 독일어 대응 표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