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Middle-Aged Adul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through Coping Strate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윤나 권경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605~6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개념명확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경향성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에 대해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374명의 데이터를 SPSS 25.0과 Process Marc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SNS 이용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랩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Aiken-W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년 성인의 자기개념명확성이 낮을수록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경향성을 높게 지각하며 회피중심대처를 사용해 SNS중독경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개념명확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경향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온라인 상호작용 선호경향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 하위요인 중 회피 중심 대처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중년 성인의 자기개념명확성이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주며, 상담에서 자기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효율적인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사용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middle-aged adult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aged adults across the country, and the final 37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the Process Marco program. First,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NS us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Seco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hird, Aiken-W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wer self-concept clarity of middle-aged adults resulted in higher perceived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Second, the analysi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for online social interaction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 analysis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avoidance, which is one of the sub-factors of the coping strategy.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elf-concept clarity of middle-aged adults affected SNS addiction pronenes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elf-concept of middle-aged adults in the counseling and to help them use an effective coping strateg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