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utoethnography on Practical Knowledge Building of Low Experienced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Students with Deaf-Blind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현 홍재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431~45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시청각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저경력 특수학급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의 교육 경험을 살펴보고, 이 경험을 통해 형성된 실천적 지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문화기술지란 사회적 맥락 내의 자신의 경험에 대한 성찰적 이야기를 비판적으로 기술하여 개인의 삶을 이론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질적연구방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인 ‘나’는 사회문화적 환경인 ‘시청각장애 학생이 있는 특수학급’에 발령받은 ‘저경력 특수교사의 경험’을 성찰적, 자전적 측면에서 기술하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자는 시청각장애 학생의 교육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지만 다각도에서 시청각장애 학생 특성을 파악하는 경험을 통해 ‘교육환경 지식’이 형성되었다. 둘째, 연구자는 시청각장애 학생의 교육을 위해 수업을 설계, 실행, 평가하는 과정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 지식’이 형성되었다. 셋째, 연구자는 통합학급 교사, 학부모와 협력하고 시청각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과 소통하며 시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의 전문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교사 개인 지식’이 형성되었다.
결론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청각장애 학생을 만난 저경력 특수교사의 현장 적응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사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my experiences as a researcher and an low experienced special class teacher teaching deaf-blind students and to determine practical knowledge built through this experience.
Methods I used autoethnography to examine my experiences as a research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oethnography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involves critically narrating one's reflective stories about their personal experiences within a social context,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one's life. In this context, as the researcher, ‘I’ sought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an low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gned to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a ‘special class with deaf-blindness stu-dents’ from a reflective and self-reflective perspectiv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eared educating students with deaf-blindness, but ‘knowledge of the milieu of teaching’ was built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deaf-blind students from mul-tiple aspects. Second, ‘knowledge of the curriculum and subjects’ was built by process of designed, conducted, and evaluated classes of educating these students. Third, ‘personal knowledge as a teacher’ was built by cooper-ating with teachers and parents, communicating with deaf-blind student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and growing into an expert in educating deaf-blind students.
Conclusions The results provide the necessary pointers for improving the adaptability of low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