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Self-Checklist and Video Provision before Science Experiment Class on Scientific attitude, Science Self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주현 박인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417~4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과학실험 수업에서 자기 점검표, 동영상을 제공하였을 때 수업 후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 4개 학급을 대상으로 과학 자기효능감 및 과학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하였다. 4 집단으로 대조반은 일반적인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업 처치로 실험 수업 전 자기 점검표만 제공, 동영상만 제공, 자기 점검표 및 동영상 모두 제공하였다. 수업을 진행하기 전과 후에 과학 관련 자기효능감과 과학적 태도 검사지를 시행하여 수행 후 과학실험 수업 전 예습 활동이 과학적 태도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형성평가를 시행하여 과학실험 수업 후 학업 성취도가 상승하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의 경우 자기 점검표만 제공, 동영상만 제공, 자기 점검표 및 동영상 제공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 실험 수업과 다른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일반 실험 수업을 제외한 세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과 자기 점검표 중 어느 한 가지만 제공하는 것은 일반 실험 수업에 비해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반면 두 가지를 모두 제공하더라도 어느 한 가지를 제공한 것에 비해 더 효과가 있지는 않았다. 학업 성취도의 경우 자기 점검표만 제공했을 때 일반 실험 수업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실험 수업 전 자기 점검표, 동영상 제공이 과학적 태도와 과학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학업 성취도 면에서는 자기 점검표만 제공한 집단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자기 점검표가 동영상보다 더 능동적인 예습 활동을 하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스스로 교과서를 찾아보고 자료를 찾아보며 지식을 습득하였고 이는 자연스럽게 과학 자기효능감으로 이어져 성적이 향상될 것이라는 자신의 믿음이 생겼다. 이는 학업 성취도를 향상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self-checklists and videos provided in science experiment classes had an effect on science-scientific attitudes,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fter class.
Methods To this end, a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tific attitude targeting four classes of middle school in Gyeonggi-do. As a group of 4, the control class conducted general experiment classes, and as class treatment, only self-checklists were provided before the experiment classes, only videos were pro-vided, and both self-checklists and videos were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science-related self-effi-cacy and scientific attitud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find out whether the pre-learning activities be-fore the science experiment class had an effect on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form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after the science experiment class.
Results In the case of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self-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checklist only, video only, and self-checklist and video.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experiment class and the other three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excluding the gen-eral experiment class was not significant. Providing only one of the videos and self-checklists had a positive effect on scientific attitude and science self-efficacy compared to general experiment classes, but providing both did not have any more effect than providing either one. In the case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eneral experiment class when only the self-checklist was provided.
Conclusions The provision of self-checklists and videos before experimental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self-efficacy.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only the self-checklist group had a positive effect. This seems to have made the self-checklist a more active preparation activity than the video. I acquired knowledge by looking for textbooks and materials on my own, and this naturally led to a sense of science self-efficacy, and I believed that my grades would improve. This has had an impact o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