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rends of Brain-Based Learning Research in Ko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배상훈 권은비 전지혜 박다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387~40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뇌 기반 학습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 및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23년 4월까지 20년간 교육 분야 KCI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중 ‘뇌 교육’, ‘뇌 학습’을 주제어로 하는 97편의 논문을 수집하였고, 연구목적에 적합한 66건의 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연구 연도, 연구목적 및 내용, 연구방법 및 자료 수집 방법, 연구 대상을 준거로 하였으며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 연도별로 동향을 살펴본 결과, 뇌 기반 학습과 관련한 연구는 2010년대 중반 이후 활발히 연구되었다. 둘째, 연구목적과 내용별로 살펴본 결과, 뇌 기반 학습의 이해를 도모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43.9%). 셋째, 연구 방법을 보았을 때, 질적연구방법(47.0%)과 양적연구방법(43.9%)이 비슷한 비율로 활용되었으며 혼합연구방법의 활용이 6편(9.1%)으로 가장 저조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관련 문헌 수집이 28편(42.4%)으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대상별 연구 동향으로는 영유아 대상 연구가 많았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도 영유아 교사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뇌 기반 학습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교육적 논의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후속 연구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 나아가 EEG나 fMRI 기기 같은 첨단 기기를 활용하여 뇌의 학습 작용을 직접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in brain-based learning in the domestic context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asks and direction.
Methods 97 papers with the keywords “brain education” and “brain learning” published in education journals list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journals from 2003 to April 2023 were collected. Among them, 66 papers that were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purpose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 The analysis criteria were research year, research purpose and content, research method and data collection method, and research subject.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research on brain-based learning has been actively studied since the mid-2010s.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earch on brain- based learning (43.9%) was related to understanding. Third, the trends in research methods showed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47.0%)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43.9%) were used in similar proportions, and mixed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e lowest proportion of 6 (9.1%). The most common data collection method was documents with 28 (42.4%). Finally, in terms of research trends by research subject, there were many studies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dult teachers also had a lot of research on infant teacher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detailed policy support and educational discussions are needed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brain-based learning research. Furthermore, future research should involve the active use of ad-vanced devices such as EEG or fMRI to directly validate the brain's learning processes, moving beyond the evalu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