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Abuse by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영 장한소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317~3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아동권리 및 학대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 목적에 따른 특정 현상을 경험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분석을 하는 데 적합하다고 알려진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방법적 틀을 구성하고, 현직 전문상담교사 7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연구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5개의 영역, 10개의 범주, 3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상담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권리는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상담교사가 가장 빈번하게 마주하는 아동학대 유형은 정서학대, 신체학대, 방임 순이었다. 셋째, 전문상담교사의 아동권리침해 및 학대 발생 시 대처방안은 신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진술 확보 및 증거수집을 위한 지속적인 상담, 관리자, 학대 담당자, 담임교사 보고 및 회의 등이 나타났다. 넷째, 전문상담교사의 아동권리 침해 및 학대 발생 시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업적 요인과 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다섯째, 아동권리 침해 및 학대 발생 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지원방안은 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 등을 포함한 사회적 노력과 아동권리 침해 및 학대 사례 발굴 및 관리 등의 개인적 노력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다루어지는 아동권리침해 및 학대 발생 시 전문상담교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학교현장에서 아동권리 침해 및 아동 학대 사례 발생 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rights and abuse.
Methods A methodological framework was constructed by utiliz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which is said to be suitable for in-depth analysis with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a specific phenomen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3 researche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 domains, 10 categories, and 31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ights perceived by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as most important were survival, protection, and developmental rights. Second, the types of child abuse that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most frequently encountered were emotional abuse, physical abuse, and neglect, in that order. Third, wh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nfronted violations of child rights and instances of abuse, their strategies involved securing statements and collecting evidence to decide on whether to report, along with continuous counseling, reporting to administrators, abuse personnel, and homeroom teachers, and conducting meetings. Fourth,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ponse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to violations of child rights and in-stances of abuse were categorized into occupational factors and factors influencing reporting. Fifth, the support measures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cases of child rights violations and abuse were divided into social efforts, including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and individual efforts, such as identifying and managing cases of vi-olation and abuse of children's right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so far are significant in that we have taken an in-depth look at the experiences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in the cases of child rights violations and abuse at school. It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event of child rights violations and child abuse cases at school sit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