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in LiFE project colleg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봉환 이미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201~2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전공선택동기,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K대학과 D대학의 성인학습자 총 260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조사 목적에 대한 응답이 부적합한 7부를 제외하였으며, 최종 253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전공선택동기,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평균 및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전공선택동기,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를 밝혔다. 이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 전공선택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매개변수로 확인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과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이 요구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motivations for major sele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s,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May 1st to June 10th, 2023, targeting a total of 260 adult learners from K University and D University. Seven copies with inappropriate responses for the pur-pose of the survey were excluded, and the final analysis was based on 253 completed survey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s for major sele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s,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e conducted analyses including mea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ult learners' major selection motiva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ese results reveal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LiFE. Through this, In order to improve adult learner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of major selection, and various measures, support policies, and programs were required to promo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dentified as paramet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