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 of Conflict During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Phenomenological Resear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수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9호, 45~5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갈등 경험의 본질과 구조를 확인하고 서술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 4학년 학생들로서 임상실습 중 갈등을 경험했거나 현재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소개받은 학생 중, 그 경험을 적극적으로 진술하기를 원하는 간호학생 10명이었다. 주 질문은 “간호학생으로서 임상실습 중 경험한 갈등은 어떠하였습니까?”였으며 참여자 1인당 평균 약 40분이 소요되었다. 참여자의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한 필사자료 분석은 Colaizzi가 제시한 절차를 따랐다.
결과 연구 참여자의 임상실습 중 갈등 경험은 ‘공평하지 않은 실습환경에 대한 억울함’, ‘갈등으로 인한 실망감과 회의감’, ‘갈등해결을 위한 희생양’의 3개의 범주와 이에 속한 8개의 주제모음 및 16개의 주제로 규명할 수 있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참여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임상실습 중 갈등은 많은 부분이 부정적인 인간관계 경험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 경험은 공평하지 않은 실습환경에 대한 억울함, 갈등으로 인한 실망감과 회의감, 갈등해결을 위한 희생양이 됨으로 인한 고뇌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nature and structure of conflict experiences during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rd and 4th grader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10 nursing stu-dents who wanted to actively state their experiences among students who experienced conflict or are currently experiencing it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main question was, “What was the conflict you experienced during clinical practice as a nursing student?” and it took an average of about 40 minutes per participant. The analysis of transcription data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of participants followed the procedure proposed by Colaizzi.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conflict experiences during clinical practice could be identified into 3 categories: “unfairness about an unfair practice environment,” “disappointment and skepticism due to conflict,” and “scapegoat for conflict resolution,” 8 collections and 16 topics.
Conclusions In conclusion, many of the clinical practice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are related to negative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which are caused by unfairness in an unfair practice environment, disappointment and skepticism caused by conflicts, and anguish caused by falling victim to conflict resolu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