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Theoretical Approach on Insurance Demand and Dividend Payments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최태영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13권 1호, 99~1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6.30
국문 초록
Mossin(1968)은 순수위험만이 존재하는 `2상황 선호모델`에서 명시보험료가 보험통계적으로 공평하면 위험회피형 보험수요자의 최적 보험수요는 완전 부보임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Mossin을 확장하여 순수위험과 배당금위험이 공존하는 `4상황 선호모델` 하에서 최적 보험수요를 도출하였다. 즉, 명시보험료가 보험통계적으로 공평할 때 최적 보험수요는 완전 부보 이상이었지만, 기대보험료가 보험통계적으로 공평할 때 최적 보험수요는 완전부보 이하였다. 다음으로 위험회피형 보험수요자의 최적 보험수요와 위험회피 측도와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한 가지 위험만을 취급하는 Arrow-Pratt 위험회피 측도는 두 가지 위험이 존재하는 본고의 모델에서 적합하지 않았다. 한편 Ross(1981)의 강력한 위험회피 측도는 배당금위험과 순수보험이 상호 독립적일 때에 한해서만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 초록
On the demand side of the dividend policy, a discrete four-state preference model is developed to capture the essence of a risk-averter`s insurance demand in the presence of dividends. The current model is an extension of Mossin(1968) in which he showed that full coverage is optimal for a risk-averse individual when stated risk premiums are fair. First, we prove that the Mossin`s result no longer holds. In our extended case, a risk-averter will buy more than full coverage with fair stated premiums. This is because the insurance contract is better than a fair deal when dividends are present. On the other hand, if the stated premiums are unfair, the insurance demand is indeterminate. Second, we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wo risk-aversion measures to explain a risk averter`s insurance demand under uncertainty. The result shows that the Ross(1981) measure is more effective than the Arrow-Pratt measure in most cases. However, under a stronger restriction, the Ross measure also reveals some weakness.
목차
Ⅰ. 서론
Ⅱ. 모델
Ⅲ. 보험수요와 배당금지급
Ⅳ. 보험수요와 위험회피측도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