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Determining the Old`s Happiness: Based on Public and Private Pension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김대환 류건식 이상우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2권 1호, 97~12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령자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삶의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문제를 분석하였다. 막연히 연금소득과 같은 안정적인 노후소득이 있는 중·고령자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생각되지만 공적연금과 사적연금 중 어떤 연금가입자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지 그리고 각각이 삶의 만족도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실증분석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는 과제이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고지만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순위로짓(Ordered Logit)모형을 통해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적연금은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반면, 개인연금은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유의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공적연금과 사적연금 모두를 소유할 경우 삶의 만족도는 아무런 연금을 소유하지 않은 그룹이나 다른 연금을 하나씩 소유한 그룹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밖에도 남성보다 여성이,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 및 자녀가 존재할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특히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empirical study analyzes the factors determining the old`s happiness, especially based on having the public and private pension plan. People expect that the old having pension plans would have the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It is litire known, however, whether having pension plans really increa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what types of pension plans between the public pension plan and private pension plan affect mor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a empirical approach is required to answer those ques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makes the old happy, we utilize the ordered logit model using the Panel Data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The results show that having a private pension increases the old`s life satisfaction level but having a public pension plan does not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However, having both types of pension plans make the old happier than the old having only a private pension plan. We also find that the female have the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e mal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s with higher education level, having a spouse and children make the old happier, and the old with higher household income are happier than the old with lower household income. Especially, the healthier old are about five times happier than the old in poor health statu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분석모형 및 분석자료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