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for Firms Transferring to Retirement Pension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김대환 류건식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3권 1호, 27~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국문 초록
2005년 12월 퇴직연금제도가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 퇴직급여제도는 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가 병존하는 상황이다. 기존 퇴직금제도에 머물던 기업들은 퇴직연금제도가 도입된 이후 퇴직연금제도로 전환해야 하는지 의사결정을 해야 하며, 퇴직연금제도로 전환하기로 결정한 이후에도 다양한 퇴직연금제도 중에서 어떠한 퇴직연금제도를 선택해야 하는지 순차적인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순차로짓(Sequential Logit)모형에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자료를 적용하여 어떠한 기업이 퇴직연금제도로 전환을 하는지 그리고 퇴직연금제도로 전환한 이후 어떠한 퇴직연금제도를 선택하는지 순차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조가 없는 기업, 이직률이 낮은 기업, 비정규직 비율이 낮은 기업은 퇴직연금으로 전환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퇴직연금으로 전환한 이후에는 기업규모가 크고 생산성이 높은 기업, 사업기간이 긴 기업, 근로자의 승진기간이 짧은 기업들은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을 선호한 반면, 젊은 근로자가 많을수록, 연봉제와 같은 성과연동 임금체계가 도입되어 있는 기업일수록, 외국인 지분율과 이직률이 높을수록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Since the retirement pension was introduced in 2005, December, there have been two types of retirement pensions in Korea. After the new pension was introduced, each firm should decide whether remains with the prior retirement pension or transfers to new pension. Because the new retirement pension has a couple of different plans, each firm chosen the new pension should decide a specific retirement pension plan. Applying the Workplace Panel Survey Data for Sequential Logit Model, we examine which firms transfer to the new retirement pension and select the defined contribution plan. The results show that firms that have no union, low job-mobility, and less temporary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transfer to the new pension, After switching into the new pension, firms that have higher productivity, more employees, longer business period, and shorter promotion period prefer the defined benefit plan, However, firms having more younger employees, payment system reflecting employee`s performance, higher foreign capital share, and higher job-mobility select the defined contribution pla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모형 및 자료
Ⅲ. 분석결과
Ⅳ. 분석결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