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Risk Criteria on Electric Facilities Considering Socioeconomic Permissible Risk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황명환 우인성 김규정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3권 2호, 75~10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국문 초록
최근 전기설비에 의한 재해가 계속 발생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안전대책을 어느 수준까지 수립하여야 하는 지에 대한 국가적인 기준이 국내에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선진 외국의 경우 각 나라의 위험수준에 관한 적정 기준을 학계 및 국가기관에서 연구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적정수준의 안전대책을 수립하도록 지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위험기준에 관한 조사 및 적용사례와 여러 가지 형 태의 전기설비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 등을 통해 위험수준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시된 위험기준을 각 계층의 이해관계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하여 국내에서 실행 가능한 전기설비의 위험기준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국내의 일반적 기준으로 사용하기에는 아직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할 것이나 본 결과를 응용하여 국내에서도 일반화 된 위험기준이 정립되기를 바 라며, 전기설비뿐만 아니라 국내의 모든 산업설비에 대하여도 유사한 위험기준을 개발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disaster in compliance with a domestic electric equipment continuously occurs, but the risk criteria of national aspects is not still taking a triangular position which level must be established a safe countermeasure. About risk level of each country in the advanced foreign nations, researches on the proper level from the academic world and the national institution have been established for this proper safe countermeasure and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guiding. For the domestic risk criteria on the electric facilities, we did literature investigations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lectric accidents. We also accomplished the detailed technical analysis, such as risk evaluation of explosive proof electric equipment in the hazardous area, risk level evaluation of control system on the LNG shipment, and on the precise automated control system considering external noise. Futhermore, we investigated the general perception of risk level and willingness to pay for the achievement of risk reduction. We suggest the appropriate risk level on the electric facilities through these analysis of our research, as the probability of death due to accident is 10-4/year for the each component of electric facilities and 10-5/year for each component related in the safety or easily contact by labor in the field. The research which leads risk level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 accident will be the possibility of deciding the optimum level of the safe countermeasure. It must also establish obligatorily level for the domestic electric equipment which is presented, like case of the foreign nation. It may be possible to establish a safe countermeasure for the compliance with the risk criteria which is clear falls a legal duty, and may be the possibility of clear limit on the case of an accident which occurs in the court.
목차
Ⅰ. 서론
Ⅱ. 국내·외 위험기준 분석
Ⅲ. 전기설비의 위험성 평가 및 위험기준
Ⅳ. 적정 위험기준 및 투자비용에 대한 일반인식 조사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