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은퇴준비인식이 경제적 은퇴준비상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Effect of the perception toward after-retirement preparation influencing to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with emphasis on moderating effect of the financi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리스크관리학회
저자명
김종모 박상범
간행물 정보
『리스크관리연구』24권 2호, 143~18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후생활 및 은퇴준비와 관련한 학술연구의 대부분이 은퇴에 대한 인식이나 은퇴준비가 은퇴 후 노후생활의 삶의 질이나 삶의 만족과 관련되므로, 은퇴후 삶의 질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기 위한 것에 의미를 찾을 수 있으나 실행요인을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후생활을 위한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과 이러한 대책 방안으로 재무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논문 조사를 통해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과 재무설계의 개념을 포괄하는 재무교육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입이 확인되었고, 이에 재무교육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노후생활인식 변인(경제적, 신체적, 사회적)을 독립변수로, 경제적 은퇴준비 변인(재정 및 주거, 경제활동)을 종속변수로, 재무교육(필요성, 경험수준, 실험적 결과품질, 감정적 과정품질)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회귀모형을 이용한 조절효과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노후생활인식과 경제적 은퇴준비 간에는 각 요인별로 재무교육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무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 인해 일반 직장인의 경제적인 은퇴준비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재무교육의 품질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특히 재무교육의 중요성을 알리는 홍보전략과 재무교육의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은 물론 교육지원정책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시사점이 도출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Most of studies on perception toward retirement or preparation for retirement hav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r life satisfaction, which is meaningful to find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There is, however, limitation that is lack of examination of the action factors. Thus this study is aiming at searching for the status quo of the financia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inance education as an option of the countermeasures for the issue. For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es and advanced study researches are conducted to make sure that finance education covering perception toward the old age life as well as concept of financial design is the key factor affecting financial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and, in order to confirm importance of financial education,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is conducted, putting variable of perception toward old age life (in terms of financial, physical and social life) for independent variable, that of perception toward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in terms of finance, residence and economic activity) for dependent variable and that of financial education (in terms of necessity, experience level, quality of experimental result and quality of emotional process) for moderating variable into regression model. As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it is found that each factor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perception toward old age life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it suggests that there is yet a need to make an effort to enhance cognition of necessity of financial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financial educations so that the general employees can raise the level of their preparation for retirement up. From the result, particularly, it can be drawn that the development of policy to support the financial education as well as communication strategy to inform of importance of this education and program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financial education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재무교육의 조절효과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모,박상범. (2013).은퇴준비인식이 경제적 은퇴준비상황에 미치는 영향. 리스크관리연구, 24 (2), 143-181

MLA

김종모,박상범. "은퇴준비인식이 경제적 은퇴준비상황에 미치는 영향." 리스크관리연구, 24.2(2013): 143-18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