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 of Career Subjects for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S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채희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969~97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진로문제를 겪고 있는 대학생들이 진로교육을 통하여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받기 위한 방안으로 S대학교의 핵심역량이 반영된 진로교과목 운영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S대학 2학년을 대상으로 2022년 9월부터 12월까지 회기당 60분으로 13주 회기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진로적응성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분석은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 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증결과에서 실험집단의 책임감(t=-5.135, p<0.001), 목표의식(t=-7.225, p<0.001), 창의성(t=-6.735, p<0.001), 개방성(t=-11.146, p<0.001), 주도성(t=-5.416, p<0.001), 직무능력(t=-7.825, p<0.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 변화를 나타냈었고, 통제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진로교과목의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을 증가 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스스로가 진로설계를 함에 있어 진로교과목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진로설계의 주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공 함에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subjects and test their effectiveness for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ducted in 13 weeks of 60 minutes per session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2 for second graders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career adaptation after the program pre-school career adaptation. For the study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s responsibility (t=-5.135, p<0.001), goal consciousness (t=-7.225, p<0.001), creativity (t=-6.735, p<0.001), openness (t=-11.146, p<0.001), initiative (t=-5.16, p<0.251, p<0.001)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group of career subjects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what are the main factors of career design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subjects in designing careers by college students themsel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