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Immigrant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on Korean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미 김유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613~62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 대한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 2기(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2기) 2차(2020년) 자료 중 중도입국 후 바로 초등학교에 입학한 13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매개, 조절 및 조절된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첫째,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유의한 부적 효과를 보였다. 둘째,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교사지지와 친구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 유의한 부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중도입국 초등학생의자아존중감은 한국어 능력과 친구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였다. 넷째,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 대한 한국어 능력과 친구지지의 매개효과를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결론 중도입국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을 지원할 때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친구지지를 활용하며 자아존중감을 촉진하는 활동이포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whether self-esteem of immigrant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moderates the negativ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via Korean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respectively.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138 immigrant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rom the 2nd data (2020) of the 2nd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e analyzed the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after calcula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focal variables with reliability of instruments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v3.5.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culturative stress of immigrant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their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nega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ird, their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oficiency and school adjustment and between friend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their self-esteem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Korean proficiency and friend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When supporting school adaptation of immigrant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ctivities that reduce accultural stress, leverage friend support, and promote self-esteem should be inclu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