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sis of Hot Issues and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 China: A Visual Analysis Based on CNKI Database
이용수 213
- 영문명
- Analysis of Hot Issues and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 China: A Visual Analysis Based on CNKI Databa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Wanting Ji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517~53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목적 본문은 중국 학계의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의 기본 상황, 이슈 및 그 발전 과정을 연구하고 향후 중국의 한국어 교육 연구에아이디어와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논문에서는 문헌 계량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중국 한국어 교육 연구 관련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CNKI 데이터베이스를기반으로 과학 계량 분석 소프트웨어 CiteSpace6.2.R4를 사용하여 2003~ 2023년까지 한국어 교육 연구에 대한 문헌을 분석하고 그래프를 그린다.
결과 연구에 따르면 중국의 한국어 교육 연구는 초기 발전기(2003~2014), 안정 성장기(2015~2020), 쇠퇴기(2021년 현재)의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교육 분야에서 고수율 저작자 그룹은 형성되지 않았으며 저작자 및 연구 기관 간의 협력이 거의 없다. 연구기관은 동북부 지방의 고등 전문 대학에 집중되어 있다. 연구의 주요 방향은 교수법, 커리큘럼 개혁 및 언어 응용에 중점을 둔다.
결론 CiteSpace를 사용하여 본 논문은 중국의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문헌 계량 시각화를 위해 아래의 여섯 가지 표를 제시합니다: 높은 생산 저자 명단, 해당 분야 내 높은 생산 기관 명단,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한 저널 목록, 높은 빈도 및 중심성을 갖는 키워드목록, 키워드 공기 네트워크 그래프, 그리고 높은 강조어 목록입니다. 연구 연대 분포 표와 함께 이 여섯 가지 표는 중국의 한국어교육 연구 현황을 체계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구는 주체에서 주제, 성과에 이르기까지 모두 고도로 집중되고 제한된 특징을반영하고 있으며, 앞으로 학제간 방법의 사용으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중시하는 동시에 새로운 연구 이슈를 발굴하기 위해기관과 다국적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tuations, hotspots, and dynamic evolu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research in China to provide ideas and references for future works in this field.
Methods This study adopts the method of bibliometric visualization. Based on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database and the metrological visualization software CiteSpace6.2. R4, this paper analyzes the published paper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rom 2003 to 2023 and draws Knowledge graphs.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at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namely the initial development period (2003-2014), the stable growth period (2015-2020),and the decline period (2021 present). A high-yield author group has yet to be formed, and there needs to be more cooperation between authors and research institutions. The research institutions are concentrated in the northeastern provinces, with the main body being vocational colleges. The primary research focuses on teaching methods, curriculum reform, and language application.
Conclusions By utilizing CiteSpace, this study presents six tabular visualizations of bibliometric data pertaining to Chines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list of the most published authors, list of research institutes , list of journals, list of high frequency keywords and centrality,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map and the top 10 keywords with the strongest citation burstness. In conjunction with the temporal distribution table of the research, these six tables and figures comprehensively depict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ainland China. Research exhibits a high degree of concentration in subjects, themes, and outcomes, which is also a limitation. In future studies, researchers should emphasize using interdisciplinary methods to expand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while strengthening institutional and cross-border cooperation to explore growing hotspo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Basic Condition of the Research
Ⅲ. Knowledge Graph Analysis
Ⅳ.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