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icture Book Activity through Book buddy on the 3 and-5-year-olds’ peer interactions and interest in read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소연 김영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501~5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목적 북버디(book-buddy)를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만 3세와 만 5세의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능력 및 읽기 흥미에 미치는 효과를알아보았다.
방법 북 버디(book-buddy)를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을 위해 G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3세 40명과 만 5세 50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각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북 버디(book-buddy)를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혼자 책읽기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능력과 읽기 흥미를 측정하기 위해 박진재(2002)와 최혜영(2004)의 연구를수정 보완한 엄은나(2006)의 교사 평정 검사 도구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검사와 Askow(1973)의 Primary Pupil Reading Attitude Inventory를 임원신(1994)이 번안, 수정한 그림책 읽기 흥미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북버디(book-buddy)을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혼자 책읽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보다또래상호작용능력, 읽기 흥미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북버디(book-buddy)을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만 3세와 만 5세의 유아의 상호작용능력과 읽기흥미를 증진하는 데보다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book buddy activities affect the peer interactions and interest in reading of young children.
Methods A total of 90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from a preschool in the city of ‘G’, including 3-yearolds(n=40) in two classes of 20 each and 5-year-olds(n=50) in two classes of 25 each. For each age group, one class was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at would take part in book buddy activities, while the other class served as a comparison group, taking part in reading activities alone.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in terms of peer interactions, with the experimental groups for both 3-year-olds and 5-year-olds showing improvement in their overall peer interaction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in terms of interest in reading, with the experimental groups for both 3-year-olds and 5-year-olds showing improved overall interest in reading.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book buddy activities ar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ncreasing the peer interactions and interest in reading of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