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Common Core Competence(Major Competency) Assessment: Focusing on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보람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141~15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k대학 전공영역에서의 공통핵심역량(전공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방법 2022년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연구가 이루어졌고 k대학 재학생 822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정규성분석을 하였고, AMOS를 활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개념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평균분산추출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198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고 전문가 검증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예비조사에서는822명의 데이터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부하량이 .5이하의 문항을 제거하였고 8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셋째, 각 요인별내적 일관성 신뢰도 분석 결과 .7 이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 적합지수에 문제가 없으며 타당성분석을 위해 개념신뢰도와 평균분산추출지수 값의 산출 결과, 개념 신뢰도 .7이상이였고 AVE .5이상으로 나타나 각 변인의 집중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는 탐색적요인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등을 통해 총 8개 요인, 69문항으로 구성된 공통핵심역량(전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k대학 전공영역에서의 공통핵심역량(전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였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통핵심역량(전공역량) 진단도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이야기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common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assessment in the major area of k univers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2 to February 2023, and the responses of 822 students at K Universit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norm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ceptual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an variance extraction were performed using AMOS.
Results First, 198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verification and face valid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Second, in the preliminary survey, items with a factor load of .5 or less were remov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data from 822 people, and 8 factors were derived. Third, as a result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factor, it was found to be .7 or higher. Fourth,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 model fit index, an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conceptual reliability and average variance extraction index values for validity analysis, the conceptual reliability was .7 or higher, and the AVE was .5 or higher, indicating that each variable has intensive validity. appeared to be Fifth, this study developed a common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assessment consisting of a total of 8 factors and 69 question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 common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assessment in the major area of k university with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ommon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assess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