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redictors of Subjective Social Mobility among Middle-aged Working Single-Mothers
이용수 288
- 영문명
- Predictors of Subjective Social Mobility among Middle-aged Working Single-Mother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서경주 오유경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78권, 123~16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인 문제, 자녀부양, 미래 노후 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장년기(40-64세) 근로 여성 한부모의 계층이동가능성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중년 근로 여성 한부모의 계층이동 가능성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22 서울서베이' 응답자 중 연구목적에 해당하는 539가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다중 회귀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β=-.10, p<.05), 주관적 건강상태(β=.18, p<.001), 주거 만족도(β=.17, p<.001), 가족관계 외로움(β=.12, p<.01), 문화시설 만족도(β=.16, p<.01), 문화프로그램 만족도(β=-.24, p<.001), 사회공정성인식(β=.23, p<.001)이 계층이동가능성 인식에 유의하게 관련되어있었다. 그다음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상향계층이동과 하향계층이동의 설명요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OR=1.38, p<.05), 화이트칼라 직업군일 경우(OR=.15, p<.05), 주거 만족도(OR=2.12, p<.05), 중위소득 수준(OR=.42, p<.05), 가족관계 외로움(OR=1.44, p<.05), 지역사회소속감(OR=.48, p<.001), 사회공정성인식(OR=11.60, p<.001)은 상향계층이동인식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주관적 건강상태(OR=.82, p<.05), 문화시설만족도(OR=.54, p<.01), 문화프로그램 만족도(OR=2.39, p<.001), 지역사회소속감(OR=.68, p<.05),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에 대한 태도(OR=.56, p<.05)은 하향계층이동인식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장년 한부모 여성들의 계층이동가능성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회복지 정책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ubjective social mobility (SSM) of middle-aged working single mothers (40-64 years old) who have experienced financial difficulties, caregiving for their children, and preparing for retirement. This study used data from 539 households that responded to the Seoul Survey of 2022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SM. The SPSS 26.0 was used to conduc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and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MLA). According to the MRA, the following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SM: age (β=-.10, p<.05), subjective health status (β=.18, p<.001), subje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β=.17, p<.001), loneliness in one’s family (β=.12, p<.01),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β=.16, p<.01), satisfaction with cultural programming (β=-.24, p<.001), and perception of social fairness (β=.23, p<.001). According to the MLA, the following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compared to immobility: subjective health status (odds ratio [OR]=1.38, p<.05), white collar (OR=.15, p<.05), subje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OR=2.12, p<.05), below 100% of median income (OR=.42, p<.05), loneliness in one’s family (OR=1.44, p<.05), community belongingness (OR=.48, p<.001), and perception of social fairness (OR=11.60, p<.001). The following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downward social mobility compared to immobility: subjective health status (OR=.82, p<.05), satisfaction with cultural facilities (OR=.54, p<.01), satisfaction with cultural programming (OR=2.39, p<.001), community belongingness (OR=.68, p<.05),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marginalized group policies (OR=.56, p<.05).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as it recognized the need for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to improve SSM among middle-aged single mother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Findings and Results
Ⅴ.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