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social and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exist between NET and NNETs in South Korea's English Hiring Market
이용수 194
- 영문명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social and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exist between NET and NNETs in South Korea's English Hiring Market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영은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3호, 93~11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한국에서 영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 항목으로 그 중요성은 매우 크며, 유아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일정 수준의 영어 구사 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영어는 매우 중요한 교육 상품으로 그 시장규모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교육 및 공공 교육 기관 모두 원어민 교사(NET)를 찾기 위해 상당한 재정적 투자를 하고 있다..기존의 연구는 원어민 강사의 채용이 학력이나 경력보다는 출신 위주로 진행됨을 밝힌바 있다. 이렇게 출신에 따라 분류하는 NET-NNET 교사 간의 이분법은 교사간 차별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으나, 이를 한국적 맥락에서 분석한 연구는 찾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은 Norman Fairgclough의 3차원 CDA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원어민과 비원어민 영어 교사에 대한 대우와 인식들이 한국 영어 시장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불평등, 권력, 지배와 관련하여 시장에서 이러한 담론들이 어떻게 재생산되거나 생산되는지를 파악한다. 분석에 이용된 데이터는 한국의 영어 교사 채용 광고를 분석하여, CDA를 통해 텍스트에 반영된 원어민과 비원어민 영어 교사에 대한 한국 사회에서의 지배적인 이념과 담론을 드러내고 이를 평가한다. 끝으로 본 논문은 한국 영어 시장에 널리 존재하는 불평등한 관행과 정책에 어떻게 하면 변화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영문 초록
English has become a crucial aspect of South Koreans' lives, and there exists a transnational linguistic market where English is a highly prized commodity. Private and public academic institutions, as well as national English programs, make significant financial investments to find Native-speaking English Teachers (NETs) to work in South Korea.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employment decisions for EFL teachers in Asia are frequently influenced by a candidate's “nativeness” as opposed to their professional accomplishments, such as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academic credentials. The NETNNET dichotomy in the EFL area is very problematic as it fosters discriminatory practices, yet little is known is known how these tensions play out in the South Korean context. By employing Norman Fairclough’s three-dimensional CDA framework, this paper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he discourses surrounding the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language teachers are constructed in the Korean English market. This paper identifies how relations of inequalities, power, and domination are reproduced or produced in discourse. Data include analysis of the texts in hiring advertisements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in South Korea. Through CDA, I sought to reveal and confront dominant ideologies and discourses reflected in the texts. This paper concludes with suggestions on how to challenge the inequitable practices and policies widely present in the South Korean English marke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Criticism and Limitations of CDA
Ⅴ. ANALYSIS
Ⅵ. : Su Seo University’s hiring advertisement.
Ⅶ. DISCUSSION AND SUGGESTION
Ⅷ.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