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Social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on Depressi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최고운 김준수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참여 동기와 노인 우울의 관계를 사회자본이 조절하는지 살펴보고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여 414명의 응답을 회수하고 이 중 395명의 응답 자료를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절 회귀식으로 분석하고, 단순 기울기 검정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참여 동기 중 관계지향 동기가 증가할수록 노인 우울은 감소하였다. 둘째, 사회자본이 증가할수록 노인 우울도 감소하였다. 셋째, 노인의 사회참여 동기(자기지향 동기, 관계지향 동기, 사회지향 동기)가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자본이 높은 집단은 사회자본이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참여 동기(자기지향 동기, 관계지향 동기)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볼 때 사회자본이 노인의 사회참여 동기(자기지향 동기, 관계지향 동기)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우울 개선을 위한 사회참여 기회 제공 방안, 사회적 지지망 형성방안, 지역사회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는 노인 사회참여 활동 방안 등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verify whether social capital mod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in the Jeonbuk area, an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414 people. Among them, the response data from 395 people were analyzed by a controlled regression equation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a simple slope test was performed. .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lationship-oriented motivation among the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motivation increased, the elderly's depression decreased. Second, as social capital increased, depression in the elderly decrease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where the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oriented motivation, relationship-oriented motivation, social-oriented motivation) affects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group with high social capital is the group with low social capital. In comparison, social participation motives (self-oriented motives, relationship-oriented motives) had a greater influence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capital modulates the effect of the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motivation (self-oriented motivation, relationship-oriented motivation)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on ways to provide social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or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ays to form a social support net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for the elderly that can be applied at the community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