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using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유예림 김지은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3호, 553~5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교육측정·평가 분야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에서 발간하는「교육평가연구」학술지에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게재된 논문 총 969편의 국문 초록을 수집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과 LDA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문항’, ‘검사’, ‘모형’, ‘평가’, ‘추정’, ‘학업성취도’, ‘능력’ 등의 키워드가 중요하게 언급되었으며 주요 키워드는 10년 단위로 변화하였다. 둘째, 주요 연구 주제로는 총 12개 토픽이 등장하였고 논문 수에 따라 ① 문항반응이론 모형, ②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③ 학업성취도 영향 요인 분석, ④ 프로그램평가 및 수행평가, ⑤ 채점자 효과 및 피험자 분류, ⑥ 검사 동등화, ⑦ 교사 및 학생평가, ⑧ 모형 비교, ⑨ 대학 입학 시험, ⑩ 집단간 차이 분석, ⑪ 종단 자료 분석, ⑫ 컴퓨터 활용 검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12개 토픽의 비율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분석, 문항반응이론 모형, 교사 및 학생평가의 경우 증가 추세를, 컴퓨터 활용 검사, 대학 입학 시험, 프로그램평가 및 수행평가의 경우 감소 추세를 보였다. 끝으로「교육평가연구」학술지를 통해 드러난 우리나라 교육측정·평가 분야 연구 동향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by applying text-mining and analyzing the abstract of 969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rom 1993 to 2022,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Evaluation. The main findings from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based on LDA algorithm are as follows. First, keywords such as ‘student,’ ‘question,’ ‘test,’ ‘model,’ ‘evaluation,’ ‘estim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bility’ were generally mentioned as necessary in abstracts from the journal, and the main keywords changed over time. Second, a total of 12 topics appeared, including ‘the Item Response Theory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ment tools’,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evalu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and so on. Third, the ratio of the 12 topics that represent research trends changed with time. Especially, the topics of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the Item Response Theory model’, and ‘teacher evaluation and student assessment’ had an increasing trend. In contrast, the topics of ‘computer-based evaluation’, ‘college entrance exam’, and ‘program evalu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d a decreasing trend. Lastly, the traits of research trends in the South Korean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shown in the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were analyzed and futur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ask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교육측정·평가 분야 연구 동향 관련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