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es for Organizing Information Domain Contents and Developing Textbook in Response to The 2022 Practical Arts Curriculum Revision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철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실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정보 영역의 내용 구성 및 교과서 개발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각론 구성의 특
징을 살펴보았다.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정보 영역을 구성하는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
수・학습 및 평가 부분을 분석하여 특징을 논의하였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이어서 실과 교과서에 들어가야 할 교과 내용(안)을 선정하였고, 이 내용(안)의 교과서
체제 요소별 적합도를 설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보영역의 단원 구성 방안, 정보영역에 적합
한 디지털 기기, 집필 세목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실과교과서의 정보영역의 내
용 및 체제를 구성할 때,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각 범주가 갖는 고유한 속성 및 상호 관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가 갖는 기능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고, 이들 요소들의 결합 및
혼합된 결과를 적절히 조직하되, 교육과정 지침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둘
째, 실과 교과서를 개발할 때, ‘지속가능한 기술과 융합’영역의 정보 관련 부분은 학습자의 디
지털 기초 소양 함양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 사회와 인공지능’영역은
2015 실과 교육과정과 더불어 인공지능 관련 선행 연구 결과를 충분히 참고해야 할 것이다.
셋째, 실과 교과서를 개발할 때, 이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되, 교육과정 지침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창의성과 융통성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tent organiz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information domain of the 2022 Practical Arts curriculum revision. To this end, we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of the information section of the 2022 Practical Arts curriculum. We
delved into aspects such as content structure, achievement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ies, and assessment criteria that constitute the information section of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is analysis enabled us to discuss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derive
implications from our findings. Subsequently, we selected the content (draft) to be incorporated into
the Practical Arts textbook, assessed the appropriateness of this content (draft) for each element of
the textbook system, and presented how the information domain should be organized into units. We
also identified digital devices suitable for this domain and provided detailed guidelines for writing
the textbook content.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when structuring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information domain in Practical Arts textbooks, it is crucial to have
a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unique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among various categories of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functions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An effective organization should ensure that the combined and integrated outcomes of
these elements are presented appropriately, all while adhering closely to the curriculum guidelines.
Second, in developing Practical Arts textbooks,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enhancing
learners' digital literacy within the information-related aspects of the 'Sustainable Technology and
Convergence' domain. Additionally, the Digital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ection should
consider both the 2015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insights from prior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ir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textbooks should draw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but should also encourage creativity and flexibili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urriculum guidelin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