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영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841~85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는 M군 소재 간호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최종 표출된 182부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증,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분석하였고,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 절차에 따라 실시하고 Sobel 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은 비판적 사고성향(r=.71, p<.001)과, 학업탄력성(r=.7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탄력성 간(r=.68, p<.001)에도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탄력성은 문제해결능력을 58.1% 설명하고 있었으며,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은 부분적 매개효과(β= .403, p<.001)가 있음을 확인하였다(Sobel test: Z=5.09, p<.001).
결론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탄력성은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므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 변인을 고려한 교육적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for 189 nursing students in group M, and the final 182 samples were analyz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effec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and the significance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Result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resilience (r=.68,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resilience explained 58.1%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β=.403, p<.001) (Sobel test: Z=5.09, p<.001).
Conclusions Since it was confirmed tha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resilience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strategies considering these variable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