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Metacogni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주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717~72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메타인지와 긍정심리자본,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메타인지와 긍정심리자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습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수 학습법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간호대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2023년 2월1일부터 2월 15일까지 약 2주간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efficient와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인지는 긍정심리자본(r=.52. p<.001)과 학업성취도(r=.36,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03, p=.632). 또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메타인지(t=6.41, p<.001)와 긍정심리자본(t=-2.80, p=.006) 모두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는데, 메타인지(β=.44)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긍정심리자본(β=-.19)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낮았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학습역량 향상을 위해 메타인지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마련과 함께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긍정심리자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nursing student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metacogni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academic achievement, which can strengthen the learn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8 nursing students using a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 for about 2 weeks from February 1 to February 15,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tacogn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r=.52,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r= .36, p<.001),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r=.03, p=.062). The results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showed that both metacognition (t=6.41, p<.001)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t=-2.80, p=.006)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metacognition(β=.44),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β=-.19), the lower the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To improve the learn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various strategies that can promote metacognition should be prepared and research on the effect should be conducted, an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Ⅵ.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