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Online and Offline Social Sensitivity Sca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정윤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651~66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Andrews, Khin, Crayn, Humphreys와 Schweizer의 온·오프라인 사회적 거부민감성(O2S3)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예비연구에서 18세~30세 113명을 대상으로 O2S3 예비척도를 설문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최종으로 구성된 한국판 온·오프라인 사회적 거부민감성 K-O2S3 척도로 전국에 거주하는 18세~30세 25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척도와 달리 한국판 온·오프라인 사회적 거부민감성 척도(K-O2S3)는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온라인 사회적 상호작용(6문항), 사회적 투자(6문항), 타인의 인정에 대한 걱정(5문항)의 3개 하위요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한국판 온·오프라인 사회적 거부민감성 척도(K-O2S3)와 우울(K-DASS-21), 내면화된 수치심(ISS)과의 상관분석으로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토대로 개인의 심리적 건강 뿐 아니라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변인이 되는 거부민감성을 보다 심도있게 이해하고, 상담 및 임상 장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ndrews, Khin, Crayn, Humphreys and Schweizer's to online and offline social sensitivity scale (O2S3) for Korean.
Methods To this e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113 people aged 18 to 30 using the preliminary O2S3 scale as survey data,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50 people aged 18 to 30 living across the country using the final Korean online and offline social sensitivity scale(K-O2S3).
Results First, unlike the original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online and offline social sensitivity scale(K-O2S3) consisted of a total of 17 questions, and three low-income factors were identified: online social interaction (6 questions), social investment (6 questions), and concern for recognition of others (5 questions). Second, convergence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the online and offline social rejection sensitivity scale (K-O2S3),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21 (K-DASS-21),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counseling and clinical scenes by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rejection sensitivity, which is an important variable in form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well as individual psychological heal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