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in the Lifelong Education on Well-Dying Recognition of the Elderly Wom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남지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521~5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평생교육현장에서 미술활동이 여성노인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웰다잉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실존주의적 입장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D시의 70세 이상의 미술활동을 하는 여성노인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고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을 활용해 개방코딩, 축코딩, 개방코딩으로 분석하여 노년기 미술활동이 웰다잉에 미치는 영향과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66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1개의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여성노인 미술가들의 웰다잉 인식과정을 최종 6단계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단계는 신체한계, 심리적 좌절, 실존적 대면, 한계상황, 실존실현, 주체적 정체감 형성단계로 드러났다. 분석결과 드러난 연구의 핵심현상은 평생교육원에서의 미술활동은 여성노인이 느끼는 무의미한 삶과 무가치한 존재감에서 벗어나 집중과 몰입을 통해 새로운 전문성을 확립하고 주체적 정체성형성으로 관계 확장을 가능하게 했다.
결론 노년기 미술활동을 통한 주체적정체성 확립으로 더이상 수동적이고 나약한 의존적인 존재로서의 여성노인이 아닌 웰다잉에 대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태도를 통해 남은 삶을 영위하는 존재로의 인식전환을 가능하게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on life of elderly women and their well-dying perception based on the existentialism.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seven elderly women aged 70 or older in D city in Korea and analyzed the phenomenon using Grounded theory by Strauss & Corbin wit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impact and process of art activities in elderly women on well-dy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6 concepts, 25 subcategories, and 11 core categor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 the process of recognizing well-dying by female elderly artists was derived in the final six stages. The derived stages are physical limitations, psychological frustrations, existential confrontation, critical situations, realization of existence, and formation of subjective identity. The main phenomenon of the study revealed by the analysis is art activities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break away from the meaningless life and worthless being based on existentialism. Throughout concentration and immersion, new expertise was established and was also possible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the formation of subjective identity.
Conclusions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identity through the art activities, elderly women are no longer a passive and weak dependent people, they are the people who have active and leading attitude towards well-dying. The art activities helped to change the perception of being who leads the rest of their liv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