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a fully online flipped teaching cour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효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479~49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학습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에서 사용된 학습 활동과 학습 성과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총 5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을 시행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인식과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동영상 시청률, 토론 게시판 점수와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상관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설문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비율의 학생들이 동영상 강의 시청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반복 시청 등의 방법으로 동영상 강의를 적극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립러닝 모델은 학생들 간 양질의 의사소통을 증진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상관 분석 결과, 비디오 시청률 및 토론 게시판 점수는 학습 성과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학습효과를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 증가와 개개인의 학습 속도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는 유연성 등이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으며 이는 곧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플립러닝 수업에서 실행된 동영상 강의 시청과 토론 게시판 참여라는 두 가지 주요 학습 활동이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flipped teaching,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flipped classroom activities and student learning.
Methods A total of 58 students received online flipped instru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measuring students’ perceptions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flipped teaching method in general.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lipped classroom activities and student learning,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udents’ video viewing rate, discussion board scores, and student learning outcomes were also conducted.
Results The survey results suggest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express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online flipped classroom after the course. High percentage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y enjoyed watching lessons on video and made full use of lecture video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Moreover, the online flipped model was perceived to increase communication among peer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both lecture video viewing and discussion board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ositive learning outcomes to some extent.
Conclusions Overall, students appreciated the online flipped method, particularly for the increased engagement with peers and flexibility to learn at their own pace, which enriched the overall learning experience. Two instructional methods used in the online flipped classroom (having students watch pre-recorded lecture videos and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boar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contributor of student learn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ology
Ⅳ. Result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