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hy did They Cross-Apply?: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ience of Cross-Applican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황효정 신세인 이준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315~32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국내 고등학생 중 자신의 기존 문·이과 선택과는 다른 전공의 계열로 교차지원하여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한 연구이다.
방법 연구에는 교차지원으로 대학수시입학전형에 합격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6인이 참여하였다.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고등학교에서 계열 선택을 하게된 배경부터 이들의 계열 변경 및 교차지원 과정에 이르는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했으며, 반복적 비교분석을 통해 공통적으로 드러난 주제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이들은 특정 계열에 대한 단편적 측면을 고려하여 계열 선택을 내렸으며, 이후 중도변경의 어려움을 겪어 혼란을 겪었다. 이후 대학 진학을 위한 교차지원 또한 깊은 고민이 결여된 채 취업과 입시라는 목적을 위해 성급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대학 진학 이후의 학업 및 적응에 대한 우려와 불안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계열 선택 및 대학 진학지도에서의 충분한 정보 제공과 숙고가 이루어질 기회가 필요하며 교차지원자들 위한 대학에서의 학업 및 진로 지도 지원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went to college by cross-application with a majo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high school track.
Methods In this study, six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who passed the university admission through cross-applic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data on experiences ranging from selecting high school tracks to changing tracks and cross-application processes were collected, and topics commonly revealed through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ere identifi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decided on their tracks by considering only the fragmentary aspects of a specific track and then experienced difficulty and confusion in changing the track in the middle. Also, their cross-application tended to be hastily decided with the purpose of employment and entrance exams, lacking deep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y expressed concerns and anxiety about their studies and adaptation after entering university.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sufficient information and deliberation are need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high school tracks and counseling for college entrance, and academic and career guidance support at universities is required for cross-applica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