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x Personality Factors(HEXACO) and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연주 채진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6호, 177~19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성격 6요인(HEXACO), 놀이성, 창의성의 수준을 살펴보고 각 성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울산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표집한 유아교사 2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관계가 검증된 성격의 하위 요인을 대상으로, 영유아교사의 각 성격 6요인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위해 The PROCESS macro v.4.0 for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Hayes(2018)가 제시한 Model 4를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영유아교사의 성격은 정서성이 가장 높고 원만성이 가장 낮았으며, 놀이성과 창의성의 수준은 높은 편이었다. 둘째, 성격 특성 중 외향성과 개방성 각각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였으며, 5,000번의 Bootstrapping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론 최근 2019 개정 누리과정 및 미래사회의 변화와 관련하여 영유아교사의 창의성 또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맥락에서 영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외향성과 개방성의 성향과 놀이성의 향상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와 관련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x Personality Factors(HEXACO) and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measures of our study variables were obtained from 23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various regions including Busan and Ulsa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21.0 and The PROCESS macro v.4.0 for SPSS.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the highest emotionality and the lowest agreeableness, and the high level of playfulness and creativity. Second, playfulness mediated the effect of Six Personality Factors on creativity. Als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through 5,000 bootstrapping.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es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factors(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playfulness about creativity for teachers in ECEC.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extra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tendencies and playfulness in order to promote the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