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Memory Loss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화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811~8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기억력 저하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자료수집은 2022년 11월20일부터 2022년 12월10일까지 일 지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166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r=.34 p<.001), 스마트폰 중독과 기억력 저하(r=.17 p=.014), 우울과 기억력 저하(r=.42 p<.001)는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기억력 저하의 관계에서 우울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18%이었다.
결론 추후 간호대학생의 기억력 저하 예방을 위한 스마트폰 예방 교육 및 우울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memory loss in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 2022 to December 10, 2022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in one area, and a total of 166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r=.34 p<.001), smartphone addiction and memory decline (r=.17 p=.014), depression and memory loss (r=.42 p<.001)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ubjective memory loss in nursing student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8%. In Smartphone addiction and subjective memory loss, depression,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Z=3.50, p<.001), and explanatory power was 18.0%.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and depression improvement programs to prevent memory lo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