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equential dual mediating of relationship of grit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between growth mindset and resilience of office work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지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727~7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성장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성장마인드셋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그릿과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하여 직장인 769명을 대상으로 성장마인드셋, 회복탄력성, 그릿, 프로티언 경력태도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위하여 Process Macro 모델 6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직장인들의 성장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그릿과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개별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두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성장마인드셋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그릿과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분석결과를 통해 직장인들이 성장마인드셋과 자신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그릿을 가지고, 주도적이고 가치지향적인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꾸준히 개발하는 것이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office workers' growth mindset on resilience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protean career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resilience.
Methods For this study, 769 office workers were survey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growth mindset, resilience, grit, and protean career attitude, and data were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Model 6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office workers’ growth mindse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resilience. Second, Second, both grit and protean career attitude were significant single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ffice workers’ growth mindset and resilience. Third, office workers’ growth mindset and resilience through grit and protean career attitude was significant, and the sequential mediational model was supported.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resilience could be improved if workers had a growth mindset, grit to achieve their goals, and steadily developed a proactive, value-oriented protean career attitude. Also,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