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Utilization of EduTech in High School Beauty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정민 권기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517~53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미용 교육 현장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에듀테크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3년 2월부터 3월까지 직업계고에서 근무 중인 미용과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50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에듀테크 수업 활용에 대한 준비성, 필요성,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후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에듀테크 수업 활용을 위해서는 실습재료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에듀테크 수업에 대비한 정보 인식, 자료 준비에 대한 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실질적인 수업활동을 위해서 에듀테크 활용 교육 환경 기반 조성이 중요하며 디지털 디바이스 보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에듀테크 교육은 교사의 수업설계 능력이 큰 영향을 끼치므로 교사에 대한 맞춤형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에듀테크 연수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에듀테크 수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디지털 교육 환경으로 전환을 위해선 구성원들의 인식 전환이 중요므로 연수 기회 제공을 통해 초기의 거부감을 해소해야 하며 교사의 수업설계 및 매체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고등학교 현장의 에듀테크 도입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지원방안 마련과 교육적 논의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teachers’ perceptions of EduTech utilization and suggest the requirement of activating EduTech in high school beauty education.
Methods We surveyed 50 vocational high school beauty teachers from February to March, asking about preparation, requirement, satisfaction with EduTech application to lectures, and the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Results To apply EduTech to lectures,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supporting materials for practice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information acquisition and preparing teaching materials. To practically use EduTech for class activities, creating the environment for EduTech was significant, and the digital devices needed to contribute. Because teachers’ ability to design lessons affects the quality of EduTech education, customized training for teachers is require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EduTech training perceived that the EduTech class is necessary more than those who have not.
Conclusions Member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s, transforming into the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That’s why sufficient training opportunities that can break up the initial unwillingness to use EduTech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Customized training is needed to improve teachers’ ability to design lessons and media utiliz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we could be aware of how teachers perceive EduTech, and it suggests the necessity of specific support and educational discussion for EduTech activation at high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