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Materials Using GeoGebra of Forming Infinite Multiple Image: focusing on the students at S gifted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경식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503~51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영재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무한 다중상 형성 원리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고, 학생의 이해 수준에 적합한 융합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무한 다중상의 형성, 무한 다중상에서 두 거울의 상이 나타나는 방식, 상황 변화에 따른 무한 다중상 형성에 대한 인식의 측면을 고려하여 설문을 개발하였다. 이후 중소 도시에 소재한 S 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고,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무한 다중상 형성 원리 이해에 대한 학생의 이해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무한 다중상 형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인식하고 있었으나, 무한 다중상이 어떤 원리로 형성되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무한 다중상형성 원리를 제시할 수 있는 광선 추적에 의한 융합 교육 자료를 지오지브라 수학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 교육 자료는 영재학교 학생의 무한 다중상 이해를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이후에 일반 학교 학생을 위한 융합 수업을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formation of infinite multiple image of first-year students in a gifted school, and developed convergence education materials for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of infinite multiple images, the way two mirror images appear in infinite multiple images, and the recognition of the formation of infinite multiple images according to situational changes. Afterwards, 16 first-year students in S gifted school in Korea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Analyz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infinite multiple image formation, most of the students were aware of infinite multiple image, but they did not know exactly how the infinite multiple image was formed. Based on the results, convergence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ray diagram for the infinite multiple image formation were developed using GeoGebra math software.
Conclusions The convergence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gifted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infinite multiple images, and can be used later for convergence classes for general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