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 Soundscape by Type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갈벽소 문정민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3(통권 28권), 366~376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유형의 역사 문화거리와 사운드스케이프의 관련 개념을 연구하는 것이다. 중국 역사 문화거리 를 대상으로 지리, 연대, 공간, 물리 등 네 가지 측면에서 연구 범위를 설정했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법을 연구 방법을 삼아 역사문화거리의 특성을 분석했다. 거리의 기능과 환경 이미지에 따라 분류하고 다양한 유형의 거리의 특성을 분석한 다음 역사와 문화적 관점에서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성과 관련 구성요소를 분석했다. 음원에 따라 사운 드스케이프를 분류하고 특성과 관련 구성요소를 종합하여 역사와 문화적 측면에서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징을 도출했 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유형의 역사문화거리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성, 구성요소 및 특징과 같은 관련 개념을 도출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s related to typology-based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and soundscapes. The study is based on Chinese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and is limited in four aspects: geographical, chronological, spatial, and physical. This study mainly adopt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s,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environmental image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districts. Then the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constituents of the soundscape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culture, the soundscape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constituents are combin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soundscape has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ept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constituent elements and features of different types of historic and cultural district soundscapes can be derived to provide a basis and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