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f a Constructivist Clas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희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465~4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사례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함양을 위해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수업 과정과 결과를 질적으
로 살펴보고, 교원양성기관에서 다문화교육과정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충청권 4년제 대학 유아교육학과에서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을 수강한 2학년 24명이었
다. 연구자료는 e-campus 게시물, 토의토론 활동보고서, 성찰저널, 다문화교육 콘텐츠, 동료 및 자기평가서, 집단면담 등을 통해
수집되었고, Miles와 Huberman(1984)이 제시한 분석과정을 따랐다.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구성주의적 수업을 통해 함양한 다문화교육역량을 지식, 기술, 가치 및 태도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개인과 사회 편견에 관한 지식과 다문화 개념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다문
화 교육자료를 수집하고 제작하는 기술과 다문화 교육자료를 평가하는 기술을 습득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와 다문화교수효능감을 함양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도성을 강조한 구성주의적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함양에 효과적이
었으며, 현장에서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과정에서부터 다양한 기회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수업사
례를 토대로 교원양성기관에서의 다문화 교사교육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case study were to qualitatively examine the class process and results applied
with the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foster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loring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a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4 sophomores who took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hel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at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Chungcheon region.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campus postings, discussion activity reports, reflection journals,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peer- and self-evaluation reports, and group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as
suggested by Miles and Huberman(1984).
Resul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ies cultivat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 a
class applied with the constructivist approach were divided into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quired knowledge about individual and social prejudices and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Second, they acquired skills to collect and produce and to evaluate multi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Lastly, they cultivated an attitude of respecting and accepting various viewpoints and a sens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tructivist class emphasizing learner’s autonomy and initiative
was effective to fost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ies and that various
opportunities are needed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to practice desirabl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Based on this case,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was discussed in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