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verse on English Curriculum for Generation MZ learn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인수 유지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425~4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MZ세대 학습자를 위한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메타버스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과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 2025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교육부,
2021.8.22.), 대통령직속 국가교육회의(2021.9.8.) 자료를 Cooper 등의 다차원 정책분석틀을 활용하여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
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 윤리와 사회 정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MZ세대를 위한 영어과 수업의 메타버스 활용 가능성은 규범적 차원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영어과 수업에서 메타
버스를 활용하는데 있어 제한점은 교육적 메타버스 플랫폼 부재, 메타버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컨텐츠 부족, 사이버 윤리 및
정보활용격차 문제 등이 거론되었다. 이를 위한 제도적, 행정적 지원방안으로는 구조적, 기술적 차원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결론 메타버스는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총괄적인 핵심역량인 ‘영어 의사소통능력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더불어
MZ세대 학습자 특성에 맞는 영어학습이 가능하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타버스의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하여 교육부와 한
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청의 디지털교육관련 부처, 교육과정⋅교과서 본부, ‘디지털⋅AI미래교육과’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 플랫
폼 및 콘텐츠 지원, 디지털 리터러시 및 사이버 윤리 교육, 고교학점제와 디지털 리터리시 역량 함양에 부합하는 교육학습방안 개발
등의 도움을 줄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verse on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for generation MZ learners.
Methods For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raft, the English department revised curriculum,
the phased implementation plan for the full application of the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Ministry
of Education, 2021.8. 22.) and the National Education Council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President(2021.9.8.)
were analyzed in the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tional, technical, and ethical and social justice dimension,
based on the four-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of Copper at al.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sibility of using metaverse in English classes for the MZ generation was
found in the normative dimension. Limitations in using metaverse in English classes were the absence of educational
metaverse platforms, lack of educational content available in metaverse, and cyber ethic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gaps.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tackle these issu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and
technical dimension.
Conclusions Metaverse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s the overall
core competency of the 2022 revised English curriculum. Moreo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enables
English learning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learners. The study suggests The Minstry of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to give support and help in
developing educational metaverse platforms and contents, cyber ethics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as well as
in devising metaverse-mediated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Digital
Literac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