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perception and support strategies for Generative AI Literacy: Focusing o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노양진 한송이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317~3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 대상 생성형 AI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지원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수도권 소재 A대학의 예비중등교사 94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 인식과 활용에 대한 관심, 관련 교육의 필요성 및 지원
방안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6명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예비중등교사의 79.8%는 인공지능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으며, 46.8%는 자신의 인공지능 관련 지식수준을
입문단계라고 응답하였다.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지원으로는, 인공지능 관련 기술을 구현해볼 수 있는 실습실 제공이었으
며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은 전공 및 교양과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심층면담 결과에서는 인공지능 리터러시 수업
수강 의향은 예비중등교사 역량함양,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 수업에 대한 관심이 도출되었으며 전공에 인공지능 도입이
필요한 이유로 보조교사역활, 학습흥미촉진, 정보습득, 사회변화 적응, 과목과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예비중등교사 대상 인공지능 교과목은 실습위주의 정규교과목으로 운영하되, 코딩과 같은 기술 활용보다는 인공지능이 제공
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분석 및 수용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키고 학문별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generative AI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94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from A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assess their level of interest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heir
requirement for relevant education, and the assistance plans they might need.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sults 79.8%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ported having experience with AI programs, and 46.8% indicated
that their knowledge of AI-related topics was at an introductory level. To support education in AI literacy, a practical
space was provided where technologies related to AI could be used and AI literacy education should encompass
both specialized majors and general liberal arts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intention to enroll
in AI literacy courses stemmed from the desire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a
personal interest in AI literacy, and curiosity about the courses themselves.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adapting to societal changes and integrating AI-related subjects into the curriculum was emphasized.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hat the AI subject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should be taught as a
practical-oriented regular course, focusing on enhancing the ability to critically analyze and embrace the information
provid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rather than focusing on coding. It was also recommended to provide disciplinespecific
education tailored to each subject a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