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 Focusing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269~2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적용하여 중등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해 탐색하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총 142명의 중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키워드
와 중심성 지수, 바이그램을 추출하고 주요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핵심 키워드는 ‘수업’, ‘학생’, ‘교사’, ‘생각’, ‘수업내용’,
‘지식’의 단어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이 인식구조 가운데에 위치하며 ‘학생’, ‘교사’, ‘생각’, ‘수업내용’, ‘지식’의 단어를 기반으로 관계
와 연결 강도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수업내용을 잘 이해하도록 교과 지식을 전달하는 수업,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 활동
이 포함된 수업,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방식의 수업, 다양한 생각이나 의견을 낼 수 있는 질문이 있는 수업, 학생들에게 학습
목표를 갖도록 교육하는 수업, 교사와 학생 간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이 좋은 수업의 주된 인식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자들에게 수업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또한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계획 등의
실천적 방향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 that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hink by apply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open questionnaires targeting 334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Keywords, centrality index, and bigrams were extract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and the main
results were visualiz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erception of good instruction, ‘instruc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gnitive structure and forms the relationship and connection strength based on the words
‘student’, ‘teacher’, ‘thinking’, ‘class contents’, and ‘knowledge’. This means that ‘instruc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ecognition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and connection strength were formed based on the words
of ‘student’, ‘teacher’, ‘thinking’, ‘class contents’, ‘knowled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ain perceptions of
good instruction were classes that convey subject knowledge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 well, classes that include activ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students, classes that draw students' interest,
classes with questions that can give various thoughts or opinions, classes that educate students to have learning
goals, and classes that interact with teachers and studen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eachers with a good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instruction,
and it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ractical directions such as class planning for good instruc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