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Anxiety, De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곤성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215~22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자존감과 자기수용의 차별적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첫째, 자기수용이 자존감과는 독립적으로 주관적 안녕감 및 불안,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둘째, 자존감
과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서울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81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자존감, 자기수용과 두 변인의 상호작용 항
을 투입하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존감,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존감을
통제한 편상관분석에서도 자기수용은 모든 변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자존감과 독립적으로 자기수용이 주
관적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였다. 둘째, 자존감과 불안,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자기수용이 자존감을 통제한 후에도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 및 불안, 우울 감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검증하
였다. 따라서 이 결과는 자기수용이 자존감과 차별적으로 정신건강에 기여할 수 있으며, 아동 대상 상담, 생활지도 개입을 마련할
때 자존감을 보완하는 심리구인으로서 자기수용의 효과와 역할의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d the independent effects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anxiety,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anxiety, depression.
Methods Self-acceptance, self-esteem, subjective well-being,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were administered
to 272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of variables.
Result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acceptance,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anxiety, depression were significant. The effect of self-acceptance on subjective well-being,
anxiety, and depression independently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nxiety,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lf-acceptance is a psychological construct tha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xiety, and depression independently of the effect of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and role of self-acceptance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that complements self-esteem when producing counseling and education interventions for
childr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