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anged Job training, Job Environment dissatisfaction, and Working Environment Changes caused by COVID-19, and Resilienc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변지현 권희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201~2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과 직무환경 불만족,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 회복탄력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영유아교사 192명을 대상으로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상관관계
로 알아보았고, 측정모형 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았다. 연구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는 구조방정식으
로 알아보았다. 매개효과는 95% 신뢰구간에서 양측검증(two tailed significance)으로 부트스트래핑(bootstrap)으로 직⋅간접
효과 및 총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회복탄력성과 하위영역의 자기조절 능력, 긍정성, 대인관계 능력은 영유아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직무환경 불만족,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과 하위영역인 상사와의 관계,
직무수행, 개인 및 조직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
다. 연구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를 보면, 영유아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은 회복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지만, ‘영
유아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직무환경 불만족→회복탄력성’과 ‘영유아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직무환경 불만
족→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회복탄력성’, ‘영유아교사의 변화된 업무 교육참여 경험→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 회복탄력성’ 경로
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은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서 회복탄력성이 영유아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다시한번 확인하였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코로나19 이후 근무환경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영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모색과 코로나19
와 같은 특수한 일로 인한 갑작스러운 근무환경의 변화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 및 제정적 지원 등 현실적인
지원책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ther's
changed participation in job training, job environment dissatisfaction, the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and resilience.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SPSS 25.0 was utilized to analyze data from 192 early childhood teacher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and the measurement
model analysis examined the fitness index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s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analyzed
as the mediating effect from the 95% confidence interval to two-tailed significance and bootstrap.
Result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ilience, self-regulation ability, positivity, and interpersonal
skills in the sub-domain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it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work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for job environment
dissatisfaction,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and subfields, relationship with superiors,
job performance, and personal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Second, the fit between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hanged job training did not directly
affect resilience, bu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hanged job training + job environment dis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hanged work educ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 job environment dissatisfaction →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 resilience’, ‘changed
work education participation experience +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 resilience’ were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by the path. In this process, the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can be interpreted
as a double medi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ce again confirm that resilience is an essential factor affe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that affects resilience
is necessary. The study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enhance their resilience in the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