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Experience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s for Education Metho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심 류다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189~20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등교육에서 주요 교육방법으로써 자리매김한 온라인 교육 운영을 위해, 교육방법 선호도에 따른 온라인 교육의
학습환경, 학습경험(교수지원, LMS 지원, 온라인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대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방법 선호도는 면대면 교육, 온라인
교육, 블렌디드 교육으로 구분하였으며, 학습환경, 교수지원, LMS 지원, 온라인 상호작용에 대한 각 그룹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Kruskal-Wallis H Test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모든 집단에서 노트북은 효율적 학습을 위해 선호한 기기였으며, 집에서 학습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둘째, 온라인 교육을
선호하는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온라인 교육에서의 교수자의 지원, LMS 지원,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교육방법 선호도에 따른 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환경 및 학습경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성공적인 온라인 교육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을 위한 학습환경 구축, 교육방법
변화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o operate onlin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which has become a primary educational method, the
differenc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experience (support experience, interaction experience) of
online 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 method preference was analyzed.
Method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targeted 506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Preference for education
methods was divided into face-to-face, online, and blended. The Kruskal-Wallis H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regarding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support, LMS support, and online
interaction.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all university students, the laptop was the
preferred device for efficient learning in all groups, and they mainly took online classes at home. Second, the group
that prefers online education was highly aware of the instructor's support, LMS support, and interaction in online
educ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primary data to seek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successful online education operation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and learning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method preference. In addition, establishing
a learning environment for university students and changing educational methods were propo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