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actical knowledge of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the inquiry-based education during the educational volunteer progra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미 이재혁 백성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61~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이 교육봉사 시간에 과학적 탐구를 위한 실험 지도를 통해 획득한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여 중등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을 제안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화학 관련 탐구실험 절차를 개발하고, 세종시에 소재한 2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중등 예비교사 7명의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였다. 개발한 가이드라인에 포함된 탐구실험 절차는 2015 개정 과학교육과정에서 제시
한 ‘기능’을 기반으로, 총 6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 기간은 총 2학기 동안 이루어졌으며 각 6회차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는 Elbaz의 실천적 지식을 활용하였으며, 포괄적 분석절차를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중등 예비교사들에게서 Elbaz가 제안한 실천적 지식의 5개 영역 중 4개 영역인 교육과정 지식, 교수-내용 지식, 교수-학습지
식, 교사 자신 관련 지식이 발견되었다. 특히 교사 자신 관련 지식으로 이 연구에서는 탐구실험에 대한 신념과 교사 자신의 역량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중등 예비교사들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발성을 존중하는 교육적 실천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제안
한 형태의 교육봉사 프로그램이 꾸준히 개발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practical knowledge acquired by pre-service teachers on the secondary level
through guiding experiments for the inquiry-based science education during their educational volunteer program
and proposed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practical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an inquiry experiment procedure was developed and the practical knowledge of seven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chemistry education was analyzed. The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volunteer
program at two high schools in S City. The guided the experiment procedures based on the guidelines consisted
of six steps based on the ‘practice’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two semesters, and the total number of the sessions was about six per semester. The data
analysis method was based on Elbaz's practical knowledge,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Results Four of the five domains of practical knowledge proposed by Elbaz were found in the pre-service teachers
on the secondary level: curriculum knowledge, subject-matter knowledge, instruction knowledge, and selfknowledge.
In particular, the study identified beliefs about inquiry experiments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wn competence.
Conclusions In order to develop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on the secondary level to engage in educational
practices that encourage students' creativity and spontaneity, educational volunteer programs employed in
this study should be more develop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