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Longitudinal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Problems, Grit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47~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3년간 주의집중 문제, 그릿, 학업무기력의 변화와 연구변인들의 영향력을 탐색하기 것으로 다변량 잠재성
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과 그릿의 매개효과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KCYPS 데이터 2018년~2020년의 종단 자료를 사용했다. 총 2,324명(남학생 1,247명, 54%; 여학생 1,077명, 46%)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주의집중 문제와 그릿은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 추세이었으나 학업무기력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주의집중 문제, 그릿, 그리고
학업무기력 모두 초기값에서 개인차가 존재하였다. 주의집중 문제 초기값→그릿의 초기값에 부적 영향, 변화율에는 정적 영향을
주고 주의집중 변화율→그릿의 변화율에 부적 영향이었다. 주의집중 문제 초기값→ 학업무기력 초기값과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주
고, 그릿 초기값→학업무기력 초기값과 변화율에 부적 영향력이 있었고, 그릿 변화율→ 학업무기력 변화율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었
다. 그리고, 주의집중 문제와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중학생들이 학업무기력을 예방하거나 감속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과정에 그릿의 속성이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middle school student’ attention problems, grits,
and academic helplessness for three years, and to explore their influence in the longitudinal change process.
Methods Among the data from the KCYPS, longitudinal data from 2018 to 2020 were used. Data from a total of
2,324 (1,247 male students, 54%; 1,077 female students, 46%) were analyzed.
Results First, attention problems and grits were on the decline over time, but academic helplessness increased.
In addition,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value in all of the attention problem, grit, and academic
helplessness, and the covariance between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the initial value of the attention problem negatively affects the initial value of the grit, bu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and the rate of attention problem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of the
grit. The initial value of the attention probl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in academic
helplessness. The initial value of gri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helplessness, and the rate of change in grit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helplessness. Third, gri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problem and academic
helplessness.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attention problem, grit, changes in academic helplessness, and the positive
role of grit in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