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blems an Improvement Direction of High School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선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7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의 국악 교육 관련 문제점을 면밀히 살펴보고, 그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안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과서 음악 감상과 비평의 단원 구성, 수록 체계, 국악 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육의 문제점은 첫째, 국악이 음악 보편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한 점, 둘째, 일반 음악 교과서와
중복되는 악곡이 대다수인 점, 셋째, 국악사 기술이 서양음악사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점, 넷째, 국악 비평의 개념과 문제의식이 없는
점이었다. 음악 감상과 비평 교육은 음악 전공 학생들을 위한 특수 교과이기에 일반 음악 교과서 보다 심화 내용이 다루어져야하지
만, 오히려 음악적 편견을 심어줄 여지가 있었다.
결론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향은 첫째, 국악을 음악 보편적으로 이해할 것, 둘째, 국악 비평에 대한 문제의식이 선행될 것,
셋째, 시대적 맥락과 함께 하는 미래지향적인 교육을 지향할 것, 넷째, 감상 악곡을 보다 다양하게 제시하고 학습 내용을 융합적으로
구성할 것이었다. 이와 같은 개선 방향 제안들이 충분히 고려되어 개선될 때 국악의 감상과 비평 교육도 창조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in the contents of high school textbook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proposes improvement directions accordingly.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2015 revised textbook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s unit composition, organization,
and Gugak conte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problems of high school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re, first, that Gugak is not universally
covered in music. Second, the majority of music pieces overlapped with general Music textbooks, and
third, the fact that the description of Gugak was remarkably lacking compared to Western music history, and
fourth, there was no concept and critical awareness of Gugak criticism. Sinc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is a special subject for students majored in music, it should have more advanced content than general
Music textbooks, but there was room to instill musical prejudice.
Conclusions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se problems is, first,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universally. Second, a critical mind about the criticism of Gugak will be preceded. Third, future-oriented education
with the context of the times was to be pursued. Fourth, appreciation music was to be presented in a more diverse
way and learning contents were to be converged. When thes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fully considered
and improved,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Gugak can also develop in a creative direc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