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view on the Global Status of Other Effective Conservation Measures for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Target 3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박선주 허학영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4권 제1호, 75~8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OECM은 쿤밍-몬트리올 생물다양성프레임워크가 채택됨에 따라 보호지역 목표 달성 수단의 하나로 명시되었다. 이 연구는 현재 국제적으로 보고된 OECM의 경향과 보전수단으로써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23년 3월까지 UNEP-WCMC에 등록된 OECM 829개소를 대상으로 일반적 현황, 관리수단 및 생물다양성 보전성과를 지정유형별로 파악하였다. 현재 9개 국가에서 보고된 OECM은 육상에 비해 해양면적이 낮다. 주요 관리근거는 법, 계획, 계약 및 관습적 관리 등이며, 주요 보전성과는 KBA 등 주요 서식지 보전 및 연결성 증진, 관련 생태계서비스 유지·증진으로 나타났다. 거버넌스는 정부 주도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보호지역에 비해 공동 거버넌스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With the adoption of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Other Effective Conservation Measures are considered important instruments to achieve the 30 by 30 target.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829 OECMs sites through identifying the related instruments and the conservation outcomes using World Database of OECMs. OECMs, reported from 9 countries, covered approximately 1% of global terrestrial and 0.1% of marine areas. OECMs were governed and managed by law, planning, contract and the way of customary management. OECMs have contributed to biodiversity through conserving important ecological habitats and enhancing the connectivity, and promoting the related ecosystem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In respect to governance types, proportion of shared governance was higher than that in protected areas.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