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hesion Measurement Variables for Text Difficulty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왕규현 이수진 윤혜선 오동규 정희원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547~5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난이도 측정에 중요한 지표인 응집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변수를 구성하고, 해당 변수의 응집성 측정에 대한 효용성을 분석 하는데 있다. 국어 응집성 측정 변수 구성을 위해, 영어 텍스트 난이도 분석 모델에서 활용되는 일반화 되고 적용에 제약이 없는 변수를 도입했다. 의미적 풍부함, 의미적 명료함, 의미적 잡음의 변수를 구성하고, 해당 변수와 응집성의 관계를 살폈다. 구성한 변수가 텍스트 난이도 측정 및 국어 응집성 측정에 효용성이 있는지 살피기 위해, 상관계수를 이용한 정량적 분석과 응집성 지문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신뢰성 있는 검증 데이터 부족의 한계로 정밀한 분석에는 이르지 못했으나, 텍스트 난이도 측정 및 응집성 측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정량적 측정 지표를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s purpose is to construct a quantifiable variable for measuring cohesion, an important indicator in assessing text difficulty assessment, and analyze the utility of this variable in cohesion measurement. To establish a cohesion measurement variable suitable for the Korean language, we introduced generalizable and unrestricted variables used in models for analyzing text difficulty in English. Variables related to semantic richness, clarity, and noise were formulated, and their relationship with cohesion was examin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tility of the constructed variables for text difficulty assessment and cohesion measurement in Korean,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qualitative analysis of cohesive passages were conducted. Owing to the limitation of insufficient reliable validation data, a comprehensive analysis could not be achieved; nonetheless, we presented quantifiable metrics that hold potential for utilization in text difficulty assessment and cohesion measurement.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응집성 측정 변수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