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filing of elementary school writers according to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4th Grader’s explanatory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세연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515~54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필자의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의 양상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필자 유형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학생 필자의 쓰기 효능감은 기초 쓰기 기능 효능감, 작문 효능감 모두 높았다. 중간값을 기준으로 기초 쓰기 기능 효능감보다 작문 효능감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쓰기 능력은 쓰기 양과 쓰기 질로 추정하였다.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라 소극적 필자 유형, 노력하는 필자 유형, 능숙한 필자 유형, 낙천적 필자 유형 등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쓰기 활동이 필요하지만 향상된 쓰기 효능감이 적극적인 쓰기 수행으로 선순환 되기 위해서는 유의미한 타자의 실제적인 피드백이 동반된 성공적인 쓰기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of 4th graders and profiled the types of writers accordingly. The writer’s writing self-efficacy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 in both basic writing skill efficacy and composition efficacy. Based on the median value, the composition effica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basic writing skill efficacy. Writing ability was estimated by the amount of writing and the quality of writing. An average of 417.77 characters were generated, and the quality of the text was moderate. Among content expression and organization the average of the organization area was the lowest. According to the writing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i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passive writer type, developmental writer type, proficient writer type, and optimistic writer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various writing activities are required, a successful writing experience is paramount for improved writing efficacy to be a virtuous cycle with active writing performa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