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Focused on Curriculum Research for Domestic University and Graduate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오경숙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365~3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국문 초록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 현황과 성과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0년에서 2023 년 6월까지 발표된 논문 총 74편을 발표 시기와 연구 목적, 연구 내용, 연구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는2000년에 시작하여 2010년까지 논문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2011년부터 2015 년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현재까지 큰 증감의 변화 없이 연구물 수가 유지되고 있다. 2) 연구 목적은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설계/개발’이 70%로 가장 많았다. 3) 연구 내용은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다룬 논의가 87%였고, 그중 일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가 절반을 차지하였다. 4) 연구 영역을 세분화하지 않은 경우가 약 76%였으며, 세분화한 연구의 경우, 쓰기, 말하기를 중심으로 하는 기능 영역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5)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문헌 연구, 혼합 연구가 비슷한 비중으로 활용되었으며 질적 연구만을 진행한 경우는 7% 정도에 불과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는 연구 대상과 영역, 방법 측면에서 점차 세분화되고 다양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편중된 경향성을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 1) 연구의 편중성 및 비연계성 개선, 2) 설계, 실행, 평가의 단계를 모두 거친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3) 연구 영역별 세분화와 균형적 접근, 4) 학습자의 학습환경과 학업 수행 과정을 반영하는 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of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by analyzing current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search began in 2000; there was a constant number of papers until 2010, but they increased rapidly between 2011 and 2015, since when the number of studies has remained unchanged. 2) Research aimed at “curriculum design/development” accounted for 70% of the total. 3) 87% of all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nd half of them were Korean curriculum studies for general academic purposes. 4) About 76% of the studies did not subdivide the research area, while subdivided studies mainly focused on functional areas centered on writing and speaking. 5) In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were conducted in similar proportion, and only about 7% involved only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cademic purposes is gradually becoming specialized and diversifi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reas, and methods, but still shows a tendency to be biased.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for future research: 1) improving research bias and non-connection, 2) developing a systematic curriculum passing through all stages of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3) implementing segmentation and a balanced approach by research area, and 4) developing a curriculum that reflects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